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중앙은행기능2

[56편] 금융시장 속 숨은 주역, 비은행 금융기관의 역할은? 금융시장 속 숨은 주역, 비은행 금융기관의 역할은?화폐의 흐름을 이해하려면 단순히 은행만 바라보아서는 안 됩니다.중앙은행이 경제 전체의 방향을 잡는 조타수라면,비은행 금융기관은 그 배의 엔진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비은행 금융기관은 어떤 역할을 할까요?중앙은행은 통화량을 조절하고 기준금리를 정하면서 경제의 큰 틀을 설계합니다.그런데 이 돈이 실제로 시장에서 움직이기 위해서는 중개자가 필요합니다.그 중개자의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금융기관"입니다.우리가 흔히 아는 은행 외에도 다양한 금융기관이 존재하는데,대표적인 비은행 금융기관에는 보험회사와 증권회사가 있습니다.이들은 단순히 돈을 모아두는 기능을 넘어서 자금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위험을 관리하며, 경제 전반의 자금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수행합.. 2025. 6. 23.
[40편] 중앙은행은 왜 돈을 직접 찍을까요? 발권의 이유 중앙은행은 왜 돈을 직접 찍을까요? 발권의 진짜 이유 알아보기길거리를 걷다 보면 "중앙은행이 돈을 찍어낸다"는 말을 자주 듣게 됩니다.그렇다면 왜 중앙은행만이 돈을 찍을 수 있는 권리를 가졌을까요?또, 단순히 돈을 만들어내는 것 외에 그 이면에는 어떤 경제적 의미가 숨어 있을까요?오늘은 '중앙은행의 발권 기능'을 주제로, 돈을 찍는 행위의 깊은 뜻을 풀어보겠습니다.발권력이란 무엇인가요?'발권력'은 말 그대로 화폐를 발행할 수 있는 권한입니다.이는 국가가 중앙은행에 부여한 특권이며,우리나라에서는 한국은행, 미국은 연방준비제도(Fed)가 그 역할을 수행합니다.예전에는 금이나 은 같은 실물이 있어야 돈을 찍을 수 있었지만,지금은 대부분 **신용을 바탕으로 한 '명목화폐'**를 사용합니다.즉, 종이 한 장이지만.. 2025. 6.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