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경영시리즈/화폐금융론27

[27편] 예금은행과 비은행금융기관, 화폐공급의 이중 엔진을 이해하자 예금은행과 비은행금융기관, 화폐공급의 이중 엔진을 이해하자은행만 돈을 움직일까? 비은행기관도 경제의 큰축이다우리가 돈을 맡기고 빌리는 곳으로 가장 먼저 떠올리는 건 '은행'입니다.하지만 실제 화폐공급 메커니즘을 이해하려면 비은행금융기관의 역할까지 함께 봐야 합니다.예금은행과 비은행금융기관은 서로 다르지만 경제에 화폐를 공급하는 이중 엔진처럼 작동합니다.예금은행이 화폐를 직접 공급하는 구조예금은행은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은행입니다.여기엔 시중은행, 지방은행, 농협중앙회 같은 기관이 포함되죠.이들은 고객의 예금을 받아 그 돈을 다시 대출하는 방식으로 예금통화를 창출합니다.예를 들어 A가 1000만 원을 예금하면, 은행은 지급준비율을 뺀 나머지를 B에게 대출할 수 있습니다.B는 그 대출금을 다시 예금하거나 사.. 2025. 5. 21.
[26편] 예금이 어떻게 돈을 만들어내는가? 은행과 통화량의 숨겨진 비밀 예금이 어떻게 돈을 만들어내는가? 은행과 통화량의 숨겨진 비밀은행은 어떻게 예금을 통해 화폐를 늘릴까?경제학을 처음 배우면 ‘은행에 예금하면 그 돈이 어디로 가는가’라는 질문을 자주 듣습니다.그냥 보관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 은행은 예금을 통해 화폐를 새로 만들어냅니다.이 과정을 이해하면 통화량이 어떻게 늘어나는지, 왜 금리나 중앙은행 정책이 중요한지가 명확해집니다.예금은 단순한 보관이 아니다, 화폐 창출의 씨앗이다사람들이 은행에 돈을 예금하면, 그 돈은 금고에 가만히 있는 게 아닙니다.예를 들어 누군가 은행에 1000만 원을 맡기면, 은행은 그 돈을 대출해 다른 사람에게 빌려줄 수 있습니다.이때 중요한 개념이 ‘지급준비율’입니다.예를 들어 지급준비율이 10%라면, 은행은 100만 원만 금고에 남겨두고,.. 2025. 5. 21.
[25편] 은행이 돈을 만들어낸다고? 예금창조의 원리 쉽게 이해하기 은행이 돈을 만들어낸다고? 예금창조의 원리 쉽게 이해하기돈은 어디서 생겨날까요? 은행의 예금창조 과정을 예시로 풀어봅니다경제학에서 가장 신기한 개념 중 하나는 바로 **‘예금창조’**입니다.많은 사람들이 은행은 단순히 돈을 보관하는 곳이라고 생각합니다.하지만 실제로는 은행이 예금을 통해 새로운 돈을 만들어내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어려운 용어 없이, 실생활 속 예시를 통해 예금창조의 원리를 쉽게 풀어보겠습니다.예금창조란 무엇일까?예금창조란 은행이 고객의 예금을 활용해 대출을 내보내고, 그 대출이 또 다른 예금으로 이어지며 새로운 통화를 만들어내는 과정입니다.즉, 하나의 예금이 반복적으로 대출과 예금 과정을 거치며 더 많은 돈을 만들어내는 현상입니다.이로 인해 시중의 실제 통화량은.. 2025. 5. 20.
[24편] 통화량이 어떻게 늘어날까? 통화승수로 풀어보는 화폐의 흐름 통화량이 어떻게 늘어날까? 통화승수로 풀어보는 화폐의 흐름예금이 화폐를 불리는 마법, 통화승수는 어떻게 작동할까?경제를 공부하다 보면 "중앙은행이 돈을 풀면 왜 시중에 돈이 더 많이 생기지?"라는 궁금증이 생깁니다.그 답은 바로 **‘통화승수’**라는 개념에서 시작합니다.이 글에서는 통화량과 화폐공급의 관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통화승수의 개념과 계산 방식을 예시 중심으로 풀어보겠습니다.통화승수란 무엇인가?가장 먼저, 통화승수란 **"기초가 되는 본원통화가 시중 통화량으로 얼마나 확대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예를 들어 중앙은행이 1억 원을 시중에 공급했다고 해도, 실제로 사람들이 사용하는 화폐는 1억 원 이상이 됩니다.왜냐하면 은행들이 예금을 통해 대출을 내보내고, 그 대출금이 또 예금으로 .. 2025. 5. 20.
[23편] 돈의 흐름을 조절하는 숨은 스위치, 지급준비율이란? [23편] 돈의 흐름을 조절하는 숨은 스위치, 지급준비율이란?지급준비율은 왜 통화량을 결정짓는 중요한 장치일까?경제학이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 중 하나는 눈에 보이지 않는 개념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특히 화폐금융론에서는 ‘지급준비율’ 같은 단어가 나오면 고개부터 젓게 됩니다. 그러나 우리가 은행에 예금할 때 그 돈이 어디로 가는지를 이해하면 이 개념은 훨씬 쉬워집니다.지급준비율, 이름 그대로 이해하면 된다‘지급준비율’이란 은행이 예금 중 일부를 준비금으로 보관해야 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 은행에 천만 원을 예금하면 은행은 이 중 10%, 즉 백만 원은 중앙은행에 준비금으로 맡기고 나머지 900만 원만 대출에 쓸 수 있습니다. 이때의 10%가 바로 지급준비율입니다.지급준비율이 경제에 끼치는.. 2025. 5. 19.
[22편] 통화량 조절의 핵심, 지급준비금 통화량 조절의 핵심, 지급준비금지급준비금이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경제를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사람도 한 번쯤은 들어봤을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지급준비금’입니다. 말은 어렵지만, 실제로는 꽤 단순한 개념에서 출발합니다.은행이 돈을 다 빌려주지 않는 이유은행에 천만 원을 맡기면 은행은 이 돈 전부를 다른 사람에게 빌려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그 이유가 바로 지급준비금 때문입니다. 쉽게 말해, 은행이 예금의 일부를 중앙은행에 보관하거나 현금으로 남겨두는 돈이 지급준비금입니다.예를 들어, 지급준비율이 10%라면 천만 원 중 백만 원은 손대지 않고 남겨두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누군가 갑자기 돈을 찾으러 오면 은행이 바로 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지급준비금이 통화량에 미치는 영향이제 중요한 질문이 나옵니.. 2025. 5.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