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경영시리즈/화폐금융론27 [15편] 예비적 화폐수요의 의미, 화폐는 왜 미리 쟁여둘까? 화폐는 왜 미리 쟁여둘까? 예비적 화폐수요의 의미경제 위기나 비상 상황에 대비하는 사람들의 심리는 어떻게 작동할까?경제학에서 화폐는 단순한 돈 그 이상입니다. 사람들은 왜 오늘 당장 쓰지도 않을 돈을 지갑이나 통장에 넣어두는 걸까요? 이처럼 당장 소비나 투자에 사용하지 않고 ‘혹시 모를 상황’을 대비해 보유하는 화폐를 경제학에서는 예비적 화폐수요(precautionary demand for money)라고 부릅니다. 이는 화폐금융론에서 아주 기초적이면서도 현실 속 경제활동과 밀접한 개념입니다.갑자기 차가 고장 나면? 오늘 지갑에 있는 돈이 10만 원입니다. 밥 먹고 영화나 볼까 했는데, 귀가 도중 차가 퍼졌습니다. 견인비 7만 원. 수리비는 내일 견적이 나옵니다. 이런 돌발 상황 때문에 사람들은 모든 돈.. 2025. 5. 11. [14편] 돈은 왜 항상 손에 쥐고 있어야 할까? 거래적 화폐수요 쉽게 이해하기 돈은 왜 항상 손에 쥐고 있어야 할까?거래적 화폐수요 쉽게 이해하기일상적인 소비를 위해 사람들은 어떤 방식으로 돈을 준비할까? 거래적 화폐수요란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소비를 하기 위해 보유하는 돈을 의미합니다. 말은 어렵게 들리지만 실생활 속 예시를 생각해보면 아주 간단해집니다. 매일 점심값을 위해 만 원을 지갑에 챙기거나, 교통비를 대비해 체크카드에 일정 금액을 남겨두는 것이 대표적인 거래적 수요입니다. 즉 돈을 쓰기 위해 잠시 들고 있는 것, 그것이 거래적 화폐수요입니다.직장인의 점심값도 경제학 개념이 된다 직장인 김씨는 매달 말일에 월급을 받습니다. 그가 하는 첫 번째 일은 공과금, 대출, 카드값을 제외하고 남은 돈 중 일정 부분을 생활비로 빼두는 것입니다. 매일 점심식사, 커피, 지하철 요금 등을.. 2025. 5. 10. [13편] 돈을 왜 들고 다닐까? 화폐수요로 보는 일상의 경제 돈을 왜 들고 다닐까? 화폐수요로 보는 일상의 경제사람들은 언제, 왜 화폐를 필요로 할까? 경제학을 어렵게 느끼는 이유 중 하나는 모든 개념이 너무 추상적이기 때문입니다. 그중에서도 ‘화폐수요’는 학생들이 헷갈리기 쉬운 주제 중 하나인데요. 하지만 실제 생활에서 우리는 항상 돈과 함께 움직입니다. 오늘은 화폐수요라는 개념을 실생활 예시로 쉽게 풀어보겠습니다.떡볶이 먹으러 갈 때도 화폐수요는 작동한다 친구와 떡볶이 가게를 갔다고 가정해보죠. 가격은 4천 원입니다. 지갑에 돈이 없으면 결제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이처럼 우리는 언제나 소비 활동을 위해 일정한 돈을 들고 있어야 합니다. 바로 이게 거래적 동기입니다. 즉 일상에서 필요한 지출을 대비해 돈을 보유하는 겁니다. 이런 거래적 수요는 월급날에도 확인할 .. 2025. 5. 10. [12편]디플레이션, 조용히 무너지는 경제: 가격이 떨어지면 왜 위험할까? 디플레이션, 조용히 무너지는 경제: 가격이 떨어지면 왜 위험할까?물가가 내려가는데 왜 모두가 불안해지는 걸까?가격이 떨어진다는 건 좋은 일이 아닌가? 처음 듣기에 디플레이션은 나쁘지 않게 들릴 수 있다. 물가가 떨어진다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좋을 것 같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작년에는 3천 원이던 커피가 올해 2천 원이 된다면 매일 마시는 입장에선 반갑다. 하지만 경제 전체를 놓고 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디플레이션은 돈의 가치가 올라가는 것이며, 이로 인해 사람들의 소비와 투자가 모두 위축된다. 그 결과는 생각보다 치명적이다.가격이 내리면 왜 소비는 멈추는가? 핵심은 기대 심리다. 사람들은 가격이 계속 떨어진다고 느끼면 오늘보다 내일이 더 싸다고 생각한다. 당장 스마트폰을 바꾸려다도 “조금만 기다리면.. 2025. 5. 9. [11편] 인플레이션은 왜 화폐를 망가뜨리는가 인플레이션은 왜 화폐를 망가뜨리는가: 돈이 돈답지 않을 때물가는 오르는데 왜 돈은 점점 믿을 수 없게 될까?화폐는 신뢰다, 단지 종이가 아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화폐는 단순한 종이가 아니다. 한 장의 지폐에 담긴 숫자는 물건을 사고, 거래를 가능하게 하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다는 ‘사회적 약속’이자 신뢰의 상징이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이 약속은 조금씩 무너진다. 화폐는 본질적으로 세 가지 기능을 가진다. 가치 저장, 교환 수단, 회계 단위다. 인플레이션은 이 세 가지를 동시에 공격하며, 화폐를 제 기능 못 하게 만든다.붕어빵 다섯 개가 한 개로… 예전 가격은 어디로 갔을까? 어릴 적 500원이면 붕어빵 다섯 개를 샀다. 지금은 그 돈으로 한 개도 사기 어렵다. 이게 인플레이션이다. 겉으로 보기.. 2025. 5. 9. [10편] 물물교환은 왜 사라졌을까? 화폐가 필요한 진짜 이유 물물교환은 왜 사라졌을까? 화폐가 필요한 진짜 이유우리가 돈을 쓰는 이유는 단지 편리함 때문일까?화폐가 없던 시절, 사람들은 물건을 물건과 바꾸는 물물교환을 통해 거래했습니다.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 방식은 점점 사라졌고, 오늘날 우리는 돈이라는 중간 수단을 당연히 사용하고 있죠.그렇다면 왜 물물교환은 결국 사라졌을까요? 단순히 불편해서였을까요?이번 글에서는 물물교환의 구조적 한계와, 그로 인해 왜 화폐가 필수적으로 등장했는지를우리 일상 속 예시를 중심으로 쉽게 풀어 설명해보겠습니다.예시: 달걀 10개와 쌀 한 봉지를 바꾸고 싶다면?달걀을 기르는 A씨와, 쌀을 농사짓는 B씨가 있다고 가정해볼게요.A씨는 쌀이 필요하고, B씨는 달걀이 필요합니다. 운 좋게 서로 맞아 떨어지면 거래가 성사돼요.하지만 만약 .. 2025. 5. 8.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