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이 돈을 만들어낸다고? 예금창조의 원리 쉽게 이해하기
돈은 어디서 생겨날까요? 은행의 예금창조 과정을 예시로 풀어봅니다
경제학에서 가장 신기한 개념 중 하나는 바로 **‘예금창조’**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은행은 단순히 돈을 보관하는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은행이 예금을 통해 새로운 돈을 만들어내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어려운 용어 없이, 실생활 속 예시를 통해 예금창조의 원리를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예금창조란 무엇일까?
예금창조란 은행이 고객의 예금을 활용해 대출을 내보내고, 그 대출이 또 다른 예금으로 이어지며 새로운 통화를 만들어내는 과정입니다.
즉, 하나의 예금이 반복적으로 대출과 예금 과정을 거치며 더 많은 돈을 만들어내는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시중의 실제 통화량은 처음의 본원통화보다 훨씬 많아질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은행은 단순 보관기관을 넘어 화폐공급을 확대하는 주체가 됩니다.
일상적인 예시로 풀어보기
A씨가 은행에 1,000만 원을 예금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은행은 법에 따라 일정 금액을 준비금으로 남기고, 나머지를 다른 사람에게 대출해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급준비율이 10%라면, 은행은 100만 원을 준비금으로 남기고,
900만 원을 B씨에게 대출합니다.
B씨는 이 900만 원을 다른 은행에 예금하고, 그 은행은 다시 90만 원을 남기고 810만 원을 C씨에게 대출합니다.
이런 식으로 대출과 예금이 반복되며 처음 1,000만 원이 수천만 원의 예금과 대출로 확장되는 것입니다.
예금창조는 왜 가능한 걸까?
이 과정이 가능한 이유는 은행 시스템이 부분지급준비제도를 따르기 때문입니다.
은행은 모든 예금을 현금으로 보관하지 않아도 됩니다.
예금의 일부만 중앙은행에 지급준비금으로 맡기고, 나머지는 대출로 돌릴 수 있습니다.
이렇게 대출된 돈이 다시 예금으로 돌아오고, 이 예금이 다시 대출로 나가며 돈이 계속 늘어나는 구조가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예금창조의 수치 예시로 이해하기
예금순서 예금액 지급준비금 대출가능액
A씨 | 1,000만 원 | 100만 원 | 900만 원 |
B씨 | 900만 원 | 90만 원 | 810만 원 |
C씨 | 810만 원 | 81만 원 | 729만 원 |
이런 방식으로 계속 반복되면 총 통화량은 이론적으로 기초 예금 × 1/지급준비율까지 확장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급준비율이 10%라면, 처음 1,000만 원은 최대 1억 원까지 예금창조가 가능해집니다.
예금창조와 통화정책의 관계
예금창조는 단지 금융시장의 작동 방식이 아니라,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을 펼칠 때 매우 중요한 변수가 됩니다.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낮추거나 본원통화를 늘리면, 은행은 더 많은 대출을 실행하게 되고,
이로 인해 예금창조 효과가 커지며 시장에 유통되는 돈이 증가하게 됩니다.
반대로 경기가 과열될 때는 지급준비율을 높이거나 금리를 올려
예금창조의 속도를 늦추는 방식으로 물가 상승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예금창조가 줄어드는 경우도 있다
예금창조는 항상 활발하게 일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경기 침체나 불황기에는 사람들이 대출을 꺼리거나 은행이 위험을 피하려 하면서,
예금창조 과정이 약해지기도 합니다.
중앙은행이 돈을 풀어도 그 돈이 대출로 이어지지 않으면 실제 통화량은 늘어나지 않고,
이때는 통화정책의 효과도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정리하며: 예금이 화폐를 만든다
예금창조는 우리 일상과 무관해 보일 수 있지만,
경제 전체에서 통화량을 결정짓는 중요한 메커니즘입니다.
단순한 예금이 경제 전체에 얼마나 큰 파급력을 가지는지를 이해하면,
통화정책이나 금융 뉴스도 훨씬 더 쉽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예금은 단지 돈을 맡기는 행위가 아니라, 새로운 돈을 만드는 첫걸음이 됩니다.
'경제경영시리즈 > 화폐금융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7편] 예금은행과 비은행금융기관, 화폐공급의 이중 엔진을 이해하자 (1) | 2025.05.21 |
---|---|
[26편] 예금이 어떻게 돈을 만들어내는가? 은행과 통화량의 숨겨진 비밀 (0) | 2025.05.21 |
[24편] 통화량이 어떻게 늘어날까? 통화승수로 풀어보는 화폐의 흐름 (0) | 2025.05.20 |
[23편] 돈의 흐름을 조절하는 숨은 스위치, 지급준비율이란? (3) | 2025.05.19 |
[22편] 통화량 조절의 핵심, 지급준비금 (1) | 2025.05.19 |